지혜로운 삶

우리는 어릴적부터 지나치게 감정에 대해 억압당하고 살아왔다.

초원의 호수 2024. 2. 4. 11:12

 

이러한 상태는 내성적 아니면 사이코패스가 되기도한다.



감정표현불능증은 결국 내성적인
성격과 연결된다.
그러면 내성적인 성격을 고치는 방법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을 해야한다.

우리는 어릴적부터 지나칠 정도로
감정에 대해서 절제를 하고 억압을 당한다.
마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큰 죄인양
교육 및 학습을 받기 때문에
모든 것의 기준이 감성이 아닌 이성적인 성적이나
결과물이 되어버리곤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내성적인 사람이 되거나
아니면 사이코패스가 되기도한다.
감정이 메말라 버리면 남들의 아픔이나
상처를 공감할수가 없기 때문에
남들에게 피해를 줘도 죄의식도 없고
반성의 마음도 생기기 않기 마련이다.

나는 요즘 아이들이 가장 제일 먼저
배워야 하는 것이 감정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초등학교때부터 영어를 배우는 것도 좋지만
그때 감성표현을 익히지 못하면
사람냄새가 아닌 성인이 되지 못하고 물질에만
집착하는 욕심쟁이가 되어버린다.

감정표현이라는 것은 친구들과 어울려놀고,
엄마아빠와 여행도 하고, 놀러도가고
운동도하고, 삐치기도하고, 울기도하고,
싸우기도 하고, 누군가를 좋아하기도하고,
누군가와 이별하기도하고,
때로는 개구쟁이처럼 사고도치고.....

이러한 다양한 삶의 경험과 주변 환경과의
소통이 감정을 풍부하게 한다.
그러나 요즘 아이들은 오로지 학원에가서
공부하고 남는 시간에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생활을 하다보니 감정이라는
것이 점점 메말라가는 것이다.
-옴겨온글-


애수의 해협 - 경음악